세계&경제 뉴스 국민 나트륨 여전히 WHO 기준 1.6배…여성 청소년 당류 과잉 섭취도 ‘심각’

국민 나트륨 여전히 WHO 기준 1.6배…여성 청소년 당류 과잉 섭취도 ‘심각’

작성자 푸드윤성

1. 식약처 발표: 국민 나트륨 섭취 수준 어디까지 왔나

식약처가 발표한 2019~2023년 국민건강영양조사 분석에 따르면, 우리 국민의 하루 평균 나트륨 섭취량은 3,136mg으로 WHO 권고 기준인 2,000mg의 1.6배에 달합니다.
다행히도 과거보다는 줄어든 수치입니다. 2011년에는 무려 4,789mg에 달했던 반면, 2023년에는 34.5% 감소했으며, 2019년보다도 4.7% 낮아졌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국제 기준과의 괴리는 크고, 특히 30~40대 남성에서 섭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습니다.


2. 외식이 문제? 나트륨 섭취의 결정적 요인

보고서에 따르면, 외식 1끼 식사 시 평균 1,522mg의 나트륨을 섭취하고 있었으며 이는 가정식(1,031mg) 대비 무려 48% 높은 수준입니다.

주요 나트륨 급원은 다음과 같습니다:

  • 면·만두류: 481mg
  • 김치류: 438mg
  • 국·탕류: 330mg
  • 볶음류: 227mg
  • 찌개·전골류: 217mg

이들 음식은 짠맛이 익숙한 한국 식단의 전형으로, 외식 문화와 밀접한 연관이 있습니다.
양념 분리 제공, 국물 섭취 줄이기, 저염 조리법 실천이 필요합니다.

👉 참고 자료: 식약처 – 삼삼한 밥상 캠페인


3. 여아·청소년 당류 섭취, 왜 위험한가

평균적으로는 당류 섭취가 WHO 권고 수준 이내(35.5g)지만, **여자 어린이(42.1g), 청소년(46.6g), 청년 여성(44.1g)**은 기준을 초과했습니다.
당류 권고 기준은 **총 섭취 열량의 10% 이내(약 50g)**로 설정돼 있으며, 어린 시절부터 과도한 당류 섭취는 비만, 대사증후군, 충치, 식습관 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4. 가공식품 속 당류 증가…간식 선택이 핵심

여아와 여청소년의 주요 당류 섭취 식품은 다음과 같았습니다:

구분주요 식품섭취량(g/일)
여아(6~11세)빵류, 아이스크림, 캔디3.2, 3.3, 3.6
여청소년(12~18세)빵류, 가당 음료, 아이스크림6.1, 4.1, 3.9

전체 당류 섭취의 47%가 음료와 과자·빵·떡류에서 유입되고 있으며, 특히 제로 음료 확산으로 음료 비중은 줄었지만 가공 간식류는 오히려 증가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소비 트렌드에 따라 더 심화될 수 있어 간식 선택 기준이 중요합니다.


5. 식약처의 식생활 개선 가이드라인

식약처는 다음과 같은 실천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 나트륨 줄이기:
    • 국물 요리 줄이기
    • 간장, 소금 사용량 최소화
    • 양념은 따로 제공 받기
  • 당류 줄이기:
    • 음료 대신 생수 섭취
    • 가공식품 성분표 확인 습관
    • 당 함량 낮은 과일 간식 활용

또한 식약처는 매년 **‘우리 몸이 원하는 삼삼한 밥상’**이라는 가이드를 발간하며 저염·저당 식생활 실천법을 구체적으로 안내하고 있습니다.


6. 건강을 지키는 나트륨·당류 관리 실천법

항목줄이는 방법대체 방법
국·탕·찌개국물 섭취 줄이기, 재료 먼저 건져 먹기무국식 식단, 된장·청국장 활용식
음료탄산, 가당 음료 피하기무가당 생수, 허브티
간식빵·과자류 제한견과류, 방울토마토, 요거트
외식양념 분리 요청, 1인분 나눠먹기집밥 위주 식단 전환

7. 결론: 숫자로 본 우리 식생활, 지금 바꿔야 할 때

이제는 숫자로 보는 우리의 식생활 습관이 건강을 위협하는 신호가 되고 있습니다.
나트륨과 당류 섭취는 우리 몸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직접적인 요소이며, 특히 아이들의 식습관 형성 시기에는 더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하루 한 끼라도 저염, 저당을 실천해 보세요. 변화는 식탁에서 시작됩니다


출처

  • 기사: 「국민 나트륨 여전히 WHO 기준 1.6배…여아·청소년 당류 과잉도 우려」 (푸드투데이, 2025.07.01)
  • 공식 자료: 식품안전나라 / WHO 건강 권고

관련 포스트

댓글 남기기